분류 전체보기
25년 4월 1일 (화) - 히브리서 13:12-16
25년 4월 1일 (화) - 히브리서 13:12-16
2025.04.0125년 4월 1일 (화) - 히브리서 13:12-16 찬송가 327장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희생 제물이 되심으로써 우리에게 새로운 제사의 길이 열렸습니다. 그 리스도인으로서 우리가 드려야 할 제사의 모습을 3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보겠습니다. 첫째. 예수님처럼 고난과 치욕을 감내하며 영원한 하늘의 도성을 바라보는 믿음의 삶을 살아가는 모습입니다. 물질적 소유나 세상의 성공보다 영적인 성장과 하늘의 가치를 추구하며 이웃을 사랑하고 섬김으로써 예수님의 희생을 본받는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둘째. 예수로 말미암아 항상 찬송의 제사를 하나님께 드리는 삶이 되어야 합니다. 교회에서 예배 시간에 노래하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 속에서도 우리의 말과 행동이 하나님을 찬양하는 도구가 되어야 합니다. 언제나 ..
25년 3월 31일 (월) - 열왕기하 5:15-19
25년 3월 31일 (월) - 열왕기하 5:15-19
2025.03.3125년 3월 31일 (월) - 열왕기하 5:15-19 찬송가 314장 신앙생활의 생기와 기쁨이 시들해질 때가 있습니다. 예배와 찬양과 기도가 설레며 하나님이 그립기만 하던 마음이 어느새 무덤덤해지는 것입니다. 그런 위기를 극복하고 신앙의 생기를 되찾아야 합니다. 예물을 거절한 엘리사의 태도에서 우리는 그 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아람 왕의 군대 사령관 나아만이 감사의 마음으로 바치려는 예물을 엘리사는 단호하게 거절합니다. 받아도 될 만한 이유는 충분했습니다. 나아만의 나병이 나았고 덕분에 고치지 못하면 아람이 트집 잡아 공격해올까 염려했던 이스라엘 왕의 걱정도 해소되었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온 세상에 이스라엘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기도 했습니다. 그럼에도 엘리사는 하나님의 살아계심 을 두고 맹세하며 ..
3월 4주 어린이설교
3월 4주 어린이설교
2025.03.30주님 손에 맡기면 불가능이란 없습니다 요한복음 15:4-5 & 설교자 : 이은재 선생님
25년 3월 28일 (금) - 출애굽기 17:1-7
25년 3월 28일 (금) - 출애굽기 17:1-7
2025.03.2825년 3월 28일 (금) - 출애굽기 17:1-7 찬송가 342장 우리는 직접적인 소통보다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를 사용한 소셜 네트워크 안에서의 소통이 더 많은 시대를 살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직접 만나 이야기하고 소통하는 것이 당연했지만 요즘에는 대면하지 않아도 얼마든지 필요한 소통을 할 수 있기에 불필요한 만남을 선호하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사람과 사람이 서로의 눈을 바라보면 대화하고 소통하는 것과 다르게 스마트폰으로 메시지를 주고받고 소통하면서 새로운 염려가 생겼습니다. 우리는 분명한 감정 전달과 진솔한 마음 나누기가 쉽지 않은 시대를 살아가고 있습니다. 이런 우리에게 오늘 본문은 하나님과 우리의 관계를 돌아보게 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주님의 명령대로 신 광야를 떠나 르비딤에 장막..
25년 3월 27일 (목) - 에베소서 4:22-24
25년 3월 27일 (목) - 에베소서 4:22-24
2025.03.2725년 3월 27일 (목) - 에베소서 4:22-24 찬송가 289장 옛사람을 벗는다는 것은 그리스도를 믿기 전에 따랐던 낡은 생활방식을 버린다는 의미입니다. 바울은 골로새서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 어울리지 않는 부적절한 언행과 잘못된 관계가 바로 낡은 생활방식임을 이야기합니다. 그리스도인은 이러한 것들을 벗어 버려야 합니다. 바디매오 가 예수님의 부르심을 들었을 때 그의 겉옷을 던져 버린 것처럼 다시는 찾을 수 없도록 멀리 던져 버리는 것입니다. 우리가 입을 새사람은 마음이 새롭게 되어 완전히 변화된 다시 말해 주님을 만나 회심을 경험한 인격을 말합니다. 그리스도인이라는 새로운 정체성을 가진 사람입니다. 생각하는 것과 느끼는 것과 행동하는 모든 것이 달라야 합니다. 전에는 각자 자가의 유익만을 따라갔다..
25년 3월 26일 (수) - 출애굽기 24:12-18
25년 3월 26일 (수) - 출애굽기 24:12-18
2025.03.2625년 3월 26일 (수) - 출애굽기 24:12-18 찬송가 216장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은 모세는 말씀대로 순종하여 올라갑니다. 모세가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시내산에 오르는 것이 벌써 여섯 번째입니다. 부르실 때마다 모세는 순종했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순종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합니다. 순종은 내 생각을 앞세우는 것이 아닙니다. 하나님 말씀의 뜻을 잘 깨닫고 말씀의 기준을 따라 무엇이 옳은지 깊이 묵상하면서 하나님께서 가장 원하시는 뜻대로 행하는 것이 순종입니다. 그러기에 내 생각이 앞서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은 이런 순종의 사람을 붙들고 사용하십니다. 순종은 순종을 낳습니다. 한 사람의 순종으로 순종의 공동체가 만들어집니다. 순종하는 교회, 순종하는 자녀, 순종하는 삶 앞에는 언제나 순종의 사람..
25년 3월 25일 (화) - 시편 95:6-11
25년 3월 25일 (화) - 시편 95:6-11
2025.03.2525년 3월 25일 (화) - 시편 95:6-11 찬송가 378장 목자와 양의 관계는 특별합니다. 양에게 목자는 생존의 문제입니다. 풀 한포기 물 한 모금을 먹기 위해 양은 목자의 인도를 받아야 합니다. 그뿐만 아니라 양은 사나운 맹수의 위협에 속수무책이라서 목자의 보호가 절대적입니다. 그래서 목자는 반드시 지팡이와 막대기를 지니고 다니며 양들을 먹이고 지켰습니다. 매우 목가적이고 전원적인 광경이지만 사실은 긴장감이 매우 팽팽한 현장입니다. 이 때 중요한 것은 양의 태도입니다. 양은 반드시 목자의 음성을 들고 따라가야 합니다. 그래야 안전이 보장되고 생명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양이 목자의 음성을 듣지 아니하고 다른 길로 가면 잠시 자유로울 수는 있지만 곧 위험에 노출됩니다. 그러므로 양에게 목자의 ..
25년 3월 24일 (월) - 고린도전서 1:18-24
25년 3월 24일 (월) - 고린도전서 1:18-24
2025.03.2425년 3월 24일 (월) - 고린도전서 1:18-24 찬송가 439장 사회가 점점 각박해져 갑니다. 매체마다 경쟁하듯이 내뿜는 소식들은 차갑기만 한 요즘 입니다. 이런 때 더욱 필요한 것이 바로 복음입니다. 온 세상에 드리운 죄의 힘을 단번에 소멸시 키신 예수 그리스도의 이야기가 필요한 시대입니다. 죄는 우리의 인생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생명이신 하나님과 멀어지게 합니다. 생명에서 멀어지면 죽음의 힘이 우리를 짓누릅니다. 인간 스스로는 죄의 힘을 이길 수 없습니다. 사망 권세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우리에게는 죽음을 이기신 예수 그리스도가 있습니다. 예수가 당하신 십자가 형벌은 사실 온 세상 인류가 받아야 할 죄의 처벌입니다. 예수께서 선택하신 길은 어쩌면 미련한 사랑일 수 있습니다. 죄인을 대신해 ..
3월 4주 주일설교
3월 4주 주일설교
2025.03.23소리 없는 소리를 들어야 합니다 열왕기상 19:11-16 & 설교자 : 염순옥 목사
3월 3주 어린이설교
3월 3주 어린이설교
2025.03.22우리는 하나님의 이름을 의지합니다 시편 20장 7절 & 설교자 : 윤승렬 선생님
2월 4주 주일예배
2월 4주 주일예배
2025.03.22간증 설교자 : 이하늘 청년
2월 4주 뛰노는 아이들
2월 4주 뛰노는 아이들
2025.03.22제목: 춤추는 예배자 (워십)새롬교회 뛰노는 아이들_25.02.23.(일)